고다마 리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다마 리이치는 일본의 전 야구 선수, 야구 해설가, 코치이다. 오이타상업고등학교, 메이지 대학을 거쳐 1951년 나고야 드래건스에 입단하여 1958년까지 프로 선수로 활동했다. 1954년에는 코치를 겸임하며 팀의 리그 및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며, 1955년과 1956년에는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은퇴 후에는 해설가와 코치로 활동했으며, 1973년에는 모교인 메이지 대학의 코치를 맡아 선수들을 지도했다. 2008년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요 웨일스 선수 - 사이토 아키오
사이토 아키오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1977년부터 1993년까지 활약하며, 오른손 투수 최초로 100승 100세이브를 달성하고 신인왕을 수상한 후 은퇴, 야구 해설가와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 - 다이요 웨일스 선수 - 마쓰바라 마코토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 마쓰바라 마코토는 사이타마현 출신으로 포수와 내야수로 활약하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전신팀인 다이요 웨일스의 간판 타자로 이름을 알렸고,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를 역임하고 야구 해설가로도 활동했다. - 오이타현 출신 - 우메즈 요시지로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인 우메즈 요시지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참모총장과 관동군 총사령관을 역임했으며, A급 전범으로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오이타현 출신 - 시게미쓰 마모루
시게미쓰 마모루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외무대신을 역임했으며, 전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복귀하여 부총리 겸 외무대신으로서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에 기여한 인물이다. - 센트럴 리그 베스트 나인 - 후지타 모토시
후지타 모토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리그 MVP를 2연패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센트럴 리그 베스트 나인 - 기타벳푸 마나부
기타벳푸 마나부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213승을 기록한 전설적인 투수로, 일본시리즈 우승과 MVP 수상, 명예의 전당 헌액 등 화려한 선수 경력 이후 야구 해설가, 지도자, 유튜버로 활동했다.
고다마 리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고다마 리이치 |
원어명 | Riichi Kodama |
로마자 표기 | Riichi Kodama |
가나 | こだま りいち |
한자 | 児玉 利一 |
출생지 | 오이타현 오이타시 |
생년월일 | 1919년 2월 19일 |
사망일 | 2008년 9월 3일 |
신장 | 179 |
체중 | 75 |
수비 위치 | 3루수, 투수 |
투구 | 우 |
타석 | 우 |
프로 입단 연도 | 1951년 |
첫 출장 | 1951년 |
마지막 경기 | 1958년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오이타현립 오이타 상업학교 메이지 대학 젠오이타 |
프로 | 나고야 드래건스 (1951 - 1956) 다이요 웨일스 (1957 - 1958) |
코치 경력 | |
코치 | 주니치 드래건스 (1954 - 1955) 다이요 웨일스 (1976) |
2. 학창 시절
오이타 상업학교와 메이지 대학에서 야구 선수로 활약했다. 오이타 상업학교 시절에는 1932년 춘계 선발 대회와 1935년 춘계 선발 대회에 출전했다.[11] 메이지 대학에서는 4번 타자 겸 1루수로 활약하며 시미즈 히데오의 구원 투수를 맡았고, 도쿄 6대학 야구 연맹 사상 최초의 4연패에 기여했다.[11][3][4] 졸업 후 만주에서 종전을 맞이하고 1946년 8월경에 귀국하여 오이타 현지에 있는 젠오이타에서 활약했다.
2. 1. 오이타 상업학교
오이타 상업학교 시절 1932년 춘계 선발 대회에 오이타현 소속 학교로서 처음 출전했고, 1935년 춘계 선발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11]2. 2. 메이지 대학
메이지 대학에 진학하여 4번 타자 겸 1루수로 활약하면서 시미즈 히데오의 구원 투수도 맡았다.[11] 이와모토 요시유키, 스기우라 키요시, 요시다 마사오, 후지모토 히데오 등과 함께 도쿄 6대학 야구 연맹 사상 최초의 4연패에 기여했다.[3][4] 1940년 '동아 경기 대회' 일본 대표(도쿄 6대학 선발)에 이토 쇼시치·가토 하루오와 함께 선출되었고, 팀은 전승을 거두었다. 고다마는 1995년에 유니폼과 입장식에서 착용한 모자와 넥타이를 야구 전당 박물관에 기증했다.[5]1973년, 시마오카 요시로 감독의 초빙으로 후배인 오카다 에쓰야와 함께 메이지 대학의 외부 임시 코치로 취임했다.[7] 프로 경험자 코치 해금 제1호로, 은퇴 이후 15년 만에 유니폼을 입고 선수들을 지도했다. 황금 시대의 선수를 연상케 하는 온화함과 포용력으로 선수들을 지도했으며,[3] 타자에게는 "팔로 공을 치지 마라. 허리로 쳐라", 투수에게는 "허리를 축으로 하는 투구법을 익혀라"고 가르쳤다.[8] 후에 주장·에이스로 활약하는 마루야마 기요미쓰가 언더스로로 전향한 직후, 마운드의 플레이트 사용법과 우타자 바깥쪽 낮게 떨어지는 싱커를 전수했다.[4] 마루야마는 특기인 커브에 더해, 플레이트 사용법과 싱커로 투구의 폭이 넓어져,[4] 1975년에는 에가와 스구루를 보유한 호세이를 꺾고 춘추 연패에 기여했으며, 고다마도 축하회에 참석했다.[4]
3. 프로 선수 경력
고다마 리이치는 오이타 상업학교와 메이지 대학을 거쳐 프로 야구 선수로 활약했다. 오이타 상업학교 시절에는 1932년 춘계 선발 대회(제9회 선발 중등학교 야구 대회)와 1935년 춘계 선발 대회(제12회 선발 중등학교 야구 대회)에 출전했다.[11] 메이지 대학에서는 4번 타자 겸 1루수로 활약하며 시미즈 히데오의 구원 투수도 맡았다.[11] 졸업 후 만주에서 종전을 맞이했고, 1946년 귀국하여 오이타 현지에 있는 젠오이타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프로 선수로서는 주니치 드래건스와 다이요 웨일스에서 뛰었다.
3. 1. 주니치 드래건스
메이지 대학 선배인 아마치 슌이치 감독의 권유로 1951년에 32세의 나이로 나고야 드래건스에 입단했다.[11] 1951년에는 내야수로 활약하면서 투수로서도 1경기에 선발 등판을 포함한 4경기에서 던졌다. 1952년부터는 수비 위치를 확보하며 팀의 주전으로 활약했고 1953년부터는 니시자와 미치오, 스기야마 사토시와 함께 강력한 클린업 타선을 구성했다. 그해 리그 8위에 해당되는 타율 0.303을 기록했고 동시에 올스타전에 처음으로 출전했다. 1954년에는 코치 겸임으로 4번 타자 겸 3루수를 맡아 타율 0.272, 10홈런, 47타점의 성적으로 창단 첫 리그 우승 및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니시테쓰 라이온스와 맞붙은 일본 시리즈 1차전(주니치 스타디움)에서 1대 1 동점으로 맞이한 8회말에 상대 투수 니시무라 사다아키로부터 좌측 관중석을 향해 역전 2점 홈런을 날리는 등 일본 시리즈 통산 22타수 8안타(타율 0.364)를 기록했다. ‘커브를 잘 치는 명인’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상대 투수의 커브를 노려서 치는 것이 능숙했다.1955년과 1956년에는 2년 연속으로 올스타전에 출전함과 동시에 베스트 나인에도 선정됐다. 1955년에는 가와카미 데쓰하루에 이어 리그 2위인 타율 0.315를 기록했고, 1956년에는 선수 전임으로 복귀하여 3월 25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고라쿠엔 구장)부터 4월 12일 고쿠테쓰 스왈로스전(나가노 현영 야구장)까지 10경기 연속 볼넷을 얻는 등 리그 최다인 73개의 볼넷을 기록했다.
3. 2. 다이요 웨일스
1957년 다이요 웨일스로 이적하여 4번 타자 겸 1루수로 활약했다. 같은 해 10월 13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가와사키 구장)에서 오토모 다쿠미로부터, 1958년 8월 3일 고쿠테쓰 스왈로스전(가와사키 구장)에서 가네다 마사이치로부터 각각 끝내기 홈런을 날렸다.[11] 1958년에는 39세 나이에 타율 0.275, 10홈런을 날렸지만 그 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11]4. 은퇴 이후
고다마 리이치는 1958년 현역에서 은퇴한 후, 라디오 간토, 후지 TV, 간사이 TV, 도카이 TV, 히로시마 TV 방송, TV 니시닛폰, 도카이 라디오 방송 등에서 야구 해설가로 활동했다.[6] 특히 FNS 계열사의 해설자가 부족했던 시기에는 대부분의 전국 중계를 담당했다.
2008년 9월 3일 오전 9시 30분, 전립선암으로 도쿄도 분쿄구의 병원에서 8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12] 주니치 시절에는 사와무라의 영향으로 일본에서 투수들이 선호하는[13][14] 등번호 14번을 달았다.
4. 1. 야구 해설가 및 지도자
은퇴 후 1976년에 다이요에서 코치를 맡았으며, 라디오 간토, 후지 TV, 간사이 TV, 도카이 TV, 히로시마 TV 방송, TV 니시닛폰, 도카이 라디오 방송 등에서 야구 해설자로 활동했다.[6] 특히 잇따른 현장 복귀로 FNS 계열사의 해설자가 부족했던 시기에는 대부분의 전국 중계를 담당했다.1973년부터 OB의 프로 퇴단자 코치직이 허용되면서 시마오카 요시로 감독의 초빙으로 후배인 오카다 에쓰야와 함께 메이지 대학의 외부 임시 코치로 취임했다.[7] 시마오카는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에서 미국에 원정했을 때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로드 데도 감독이 "나의 야구는 전전(戰前)의 야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기 위해 다저스로부터 좋은 점을 배우고 있습니다."라고 말한 것에 감동했고, 귀국 후 춘계 리그에서 2위에 머무르자 "기술보다 정신면을 중시해 온 대학 야구의 껍질을, 이 즈음에서 깨뜨릴 시기가 왔다"고 실감했다.[2] 프로 경험자 코치 해금 제1호로 고다마를 코치로 기용했고, 고다마는 은퇴 이후 15년 만에 유니폼을 입고 등장하여 황금 시대의 선수를 연상케 하는 온화함과 포용력[3]으로 선수를 지도했다. 타자에게는 "팔로 공을 치지 마라. 허리로 쳐라"라고 가르쳤고, 투수에게는 "허리를 축으로 하는 투구법을 익혀라"라고 가르쳤다.[8] 후에 주장・에이스로 활약하는 마루야마 기요미쓰가 언더스로로 전향한 직후, 마운드의 플레이트 사용법과 우타자 바깥쪽 낮게 떨어지는 싱커를 전수했다.[4] 마루야마는 특기인 커브에 더해 플레이트 사용법과 싱커로 투구의 폭이 넓어져[4] 1975년에는 에가와 스구루를 보유한 호세이를 꺾고 춘추 연패에 기여했으며, 고다마도 축하회에 참석했다.[4]
그 후에는 요미우리 구단의 구단주와 학창 시절부터 친했던 인연으로, 요미우리 구단의 캐릭터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 '잇큐'의 회장을 맡았다.[9]
4. 2. 기타 활동
은퇴 후에는 1976년에 다이요에서 코치를 맡았으며 라디오 간토, 후지 TV, 간사이 TV, 도카이 TV, 히로시마 TV 방송, TV 니시닛폰, 도카이 라디오 방송 등에서 야구 해설자로도 활동했다.[11] 특히 잇따른 현장 복귀로 FNS 계열사의 해설자가 부족했던 시기에는 대부분의 전국 중계를 담당했다.2008년 9월 3일 오전 9시 30분, 전립선암으로 도쿄도 분쿄구의 병원에서 향년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주니치 시절에는 사와무라의 영향 탓인지 일본에서 투수들이[13] 선호하는[14] 등번호인 14번을 착용했다.
5. 사망
2008년 9월 3일 오전 9시 30분, 전립선암으로 도쿄도 분쿄구의 병원에서 사망했으며, 향년 89세였다.[12] 주니치 시절에는 사와무라의 영향 때문인지 일본에서 투수들이[13] 선호하는[14] 등번호인 14번을 착용했다.
6. 상세 정보
- 올스타전 3회 출장 (1953년, 1955년, 1956년)
6. 1. 수상 및 타이틀 경력
6. 2. 등번호
주니치 드래건스 시절에는 사와무라 에이지의 영향 탓인지 일본에서 투수들이[13][14] 선호하는 등번호인 14번을 착용했다.참조
[1]
서적
プロ野球人名事典 2003
日外アソシエーツ
2003
[2]
웹사이트
週刊ベースボール1973年9月17日号「ワイド特集(1)雪解けの使者児玉臨時明大コーチ」pp24-25
https://bbmdigital.j[...]
週刊ベースボール
1973-09-17
[3]
서적
増補版 なんとかせい! 一事入魂 島岡御大の10の遺言
鳥影社
2023-01-23
[4]
서적
なんとかせい! 一事入魂 島岡御大の10の遺言
[5]
웹사이트
野球殿堂博物館 - The Baseball Museum
https://baseball-mus[...]
[6]
문서
クロスネット時代にFNS向け
[7]
서적
なんとかせい! 一事入魂 島岡御大の10の遺言
[8]
웹사이트
週刊ベースボール1973年10月8日号「技術をひもとく…目につく基礎体力不足 …児玉利一…」p37
https://bbmdigital.j[...]
週刊ベースボール
1973-10-08
[9]
뉴스
プロ野球 あの名選手いまどこに 栄光のプレー記憶は薄れて
朝日新聞
1985-03-08
[10]
웹사이트
中日の日本一に貢献 児玉利一さん死去 - スポニチ Sponichi Annex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2008-09-03
[11]
서적
《프로 야구 인명 사전 2003》
니치가이 어소시에이츠
2003
[12]
웹사이트
中日の日本一に貢献 児玉利一さん死去
https://www-sponichi[...]
스포니치
2008-09-03
[13]
뉴스
【背番号物語】「#14」伝説から始まった栄光の投手ナンバー
https://column.sp.ba[...]
슈칸 베이스볼
2017-12-22
[14]
뉴스
日本ハム背番14はルーキーで10勝酒井ら投手中心
https://www.nikkansp[...]
닛칸스포츠
2021-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